[어린이집 보내는 시기에 대하여]어린이집은 언제보내야될까, 대기신청방법과 어린이집 선택기준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오늘은 어린이집에 관하여 여러 얘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현재 저희 아들은 19개월입니다. 가정보육을 하고 있고 올해 3월에 어린이집 입소예정입니다. 그러면 20개월에 입소하게 되겠네요. 어린이집을 보내야 하는 시기에 대해 많은 고민을 했고 보낸다면 어떻게 대기신청을 하는 것인지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어린이집을 보내야 하는 시기
어린이집을 보내야하는시기는 전적으로 부모의 선택에 달린 거 같아요. 모든 사람의 상황이 다 다르듯 양육환경에 맞게 결정하면 될 거 같아요. 열심히 서칭 해보니 만 3세까지는 가정보육을 하면 좋다는데.. 저도 그러려고 했습니다만 정말 엄마가 죽을 거 같더라고요.. 아기를 보는 게 힘든 것보단 나 자신이 너무 답답하고 미칠 거 같아서가 가장 큰 이유 같아요. 집에서 가정주부로 사는 것도 적성에 맞아야 하는 것을.. 육아 2년 차에 깨닫게 됐네요. 어쨌든 어린이집에 보내도 결국은 육아의 질이 중요한 것! 서로를 위해 보내야 할 상황이라면 걱정 말고 보내도 될 거 같아요.
2. 어린이집 선택기준
어린이집의 선택기준은 국공립이냐 민간이냐를 떠나서 그냥 집에서 가장 가까운 곳이 좋은 거 같아요. 물론 가까운 곳에 국공립과 민간이 있다면 두 곳 다 장단점이 있어서 무엇이 더 좋다고 얘기할 수가 없는 거 같아요. 간단하게 국공립과 민간어린이집의 차이점을 표로 정리해 볼게요!
보육료 | 두드러지는 특징1 | 두드러지는 특징2 | 두드러지는 특징3 | |
국공립어린이집 | 국가가 운영, 국가지원이 들어가므로 훨씬 저렴 | 나라에서 관리하고 체계적으로 운영하기때문에 신뢰성이 깊다 | 넓은 공간으로 아기가 비교적 답답하지 않고 나라지원으로 식기구, 교재교구 퀄리티등이 좋음, 인건비처우가 좋음, 들어가는 경비를 투명하게 운영 | 입소대기 한참걸림(인기가 많음), 등하원차량 없음 |
민간,가정어린이집 | 원장의 제량으로 활동이 많은곳이라면 다 제각각(국공립보단 비쌈) | 각 아이마다 세심한케어가능, 국공립형태보단 유도리있는 케어가 있다. | 어린이집마다 다른 교육관을 추구하기때문에 여러곳비교해야하고 대부분 가정형태라 답답할 수 있음 | 입소가빠를 수 있다. 기타경비가 비쌀 수 있고 운영 불투명 |
물론 국공립, 민간 말고도 직장어린이집, 법인어린이집등도 있습니다만 보편적으로 저 두 곳이 많으니 두 곳만 비교해 봤어요. 더 많은 점을 비교할 수 도 있겠지만! 저는 선택기준이 그다지 많지 않았기에..
3. 어린이집 대기신청방법
①먼저 핸드폰에 아이사랑어플을 깔아줍니다.
②어플을 깔고 마이룸을 누르면 회원가입을 하게 되어있어요. 회원가입을 끝내고 아이등록을 마친 뒤 입소대기를 눌러서 집 근처 원하는 어린이집을 찾아 대기를 눌러주면 됩니다. 시간제보육도 주변에 하는 곳이 있다면 이용해 보세요! 정부지원으로 한 시간에 1000원 부담정도 들더라고요. 한 달에 정해진 시간이상을 쓰면 정부지원이 안되고 본인부담이니 참고하세요.
4. 3월 입소대기 중인 우리 아가
저의 경우 저의 집 거실에서 보이는 국공립어린이집을 들어가게 됐어요. 대기는 무려 1년..? 혹시 몰라 1년 전에 신청해 뒀는데 이제 연락이 왔어요. 물론 입소기간을 3월로 정해서 그런 걸 수도 있는데 어쨌든 지금도 대기를 해야 들어갈 수 있고 경쟁이 치열한 건 확실해요. 일부로 국공립어린이집을 선택한 건 아니고 그냥 가장 가까워서 선택했어요. 이제 곧 있을 오티에도 참여하고 차근차근 어린이집 갈 준비를 할 예정이랍니다!